국민연금3 국민연금 개정안 요약|2033년까지 얼마나 더 내야 할까? 국민연금 개정안의 핵심, 내는 건 많아지고 받는 건?2025년 3월 20일, 국민연금 개정안이 18년 만에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습니다. 핵심은 내는 금액은 증가하지만, 돌려받는 실질적 가치는 크게 변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월급 309만 원인 직장인은 개정 후 매월 92,000원을 더 받게 되지만, 이는 30~40년 후의 금액이라 현재 가치로는 치킨 한 마리도 못 사는 수준입니다. 연금 고갈 시기는 기존 2056년에서 2064년 또는 2071년으로 늦춰질 전망이지만, 20대 후반부터 40대 초반 세대에게는 실질적 혜택이 거의 없는 정책입니다. 미래의 92,000원은 물가상승률을 감안하면 현재 가치로 약 2만 원 정도에 불과합니다. 연금 계산기로 내 연금액 확인하기 연금 개정안에 따른 부담 증가, 월급.. 2025. 4. 18. 2026년 공무원연금 인상률 전망|예상 연금액 계산하기 오늘은 최근 통계청에서 발표된 2025년 3월 소비자물가지수를 바탕으로 2026년 공적연금(공무원연금, 사학연금, 군인연금, 국민연금, 기초연금) 인상률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2025년 3월 소비자물가지수 발표 내용 3월 소비자물가지수가 116.29로 발표되었는데요, 이는 2월 지수 116.08에 비해 0.2% 상승한 수치입니다.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2.1% 상승했네요. 주요 부분별 소비자물가지수를 살펴보면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 : 전년 동월 대비 1.9% 상승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 : 전년 동월 대비 2.1% 상승생활물가지수 : 전년 동월 대비 2.4% 상승신선식품 지수 : 전년 동월 대비 1.3% 하락이러한 지표들은 우리 실생활과 직결되는 물가 변동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 2025. 4. 2. 국민연금 수령액 계산해보니 충격! 더 내고 덜 받는다 오늘은 최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국민연금 모수 개혁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언뜻 보면 '더 내고 더 받는' 구조로 개선된 것 같지만, 실상을 들여다보면 세대 간 불균형이 심화된 개혁안이라는 점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국민연금 모수 개혁안의 핵심 내용 국민연금 개혁안의 핵심은 보험요율(내는 돈)은 9%에서 13%로 상승하고, 소득대체율(받는 돈)은 40%에서 43%로 증가한다는 것입니다. 내년부터 매년 0.5%씩 보험요율을 올려 총 4%가 오르게 됩니다. 하지만 이게 정말 좋은 소식일까요? 단순히 숫자만 보면 '내는 돈도 늘고 받는 돈도 늘었으니 괜찮은 것 아닌가'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평생 약 5천만 원을 더 내고, 평생 약 2천만 원을 더 받는 구조라고 합니다. 게다가.. 2025. 4. 2. 이전 1 다음